우측 배너
테슬라에 유일하게 없는 ‘이것’
  • 최고관리자
  • 2022.03.07
  • 조회수 : 1517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시장을 선도하는 테슬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최고의 혁신기업으로 꼽히는 곳이다. 이런 테슬라에 다른 기업에 없는 게 있다. 바로 노동조합이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무노조 경영을 고집하면서 ‘노조 혐오자’라는 별명까지 얻고있다.

테슬라는 2016년 노조를 설립하려는 미국 프리몬트 공장 직원들을 방해한 혐의로 시정명령을 받았다. 

당시 직원들은 전미자동차노조의 지원을 받아 노조를 조직하기 위해 ‘테슬라의 공정한 미래(Fair Future at Tesla)’ 캠페인을 했다. 

노조 설립을 주도한 호세 모란은 “공장 근로자들이 매주 60~70시간 일하면서 격무에 시달리지만, 다른 완성차 업체보다 임금이 훨씬 적어 경제적으로 초과근무 수당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테슬라에 유일하게 없는
 

머스크는 호세 모란을 만나 그를 회유했다. 

노조를 설립하기 전에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약속하고, 전미자동차노조와 편가르기를 시도하기도 했다.

일터에서 노조 설립에 대한 유인물을 나눠주거나 노조 휘장을 착용하면 안 된다는 규정을 만들었고, 노조 편에 서는 직원은 스톡옵션을 받지 못할 것이라고 암시하기도 했다.

머스크는 2018년 5월 트위터에 “(테슬라 직원들은) 원하면 당장 내일이라도 전미자동차노조에 찬성표를 던질 수 있지만, 그렇게 하면 노조비를 내야 하고 스톡옵션을 포기해야 하는데 왜 그러겠는가?”라고 글을 올려 노동계에서 비판받기도 했다.

미국 노동관계위원회는 테슬라가 노동관계법을 위반했다고 판단하고 2019년 9월 시정명령을 내렸다. 하지만 그 뒤로도 달라진 것은 없었다. 

머스크는 여전히 무노조 경영을 고집했고, 독일에 진출할 때도 편법을 써 노조의 경영 개입을 피해갈 길을 만들었다. 

테슬라는 외국에 직접 법인을 설립하는 대신 이미 존재하는 Societas Europaea를 사들여 법인 이름만 바꿨다.

유럽주식회사는 각 유럽 국가의 법이 아닌 유럽연합의 공통 법 체계를 따르는데, 이 같은 방식으로 해외에 진출하면 노동자의 권한이 상대적으로 강한 독일에서 노사공동결정제도를 피해갈 수 있다. 노사공동결정제도란 노동자가 직접 경영에 참여하게 만든 제도로, 기업 감사위원회에 사측 위원만큼 노동자 위원을 두는 것을 뜻한다. 


사측과 노조측 위원 수가 같기 때문에 회사 전반의 사안을 결정할 때 노동자의 의견이 비교적 잘 반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빠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중요하게 여기는 머스크 같은 기업인은 이를 자신의 발목을 잡는 제도라 생각할 수 있다.

무노조 경영 방침을 고수하는 머스크는 바이든 행정부와도 종종 부딪혀 왔다. 바이든은 친 노조 성향을 가진 대통령이다. 

2021년 9월 6일 노동절을 기념해 노조 관계자들을 백악관으로 초청한 자리에서 바이든은 “우리는 월가가 미국을 만들지 않았다는 걸 기억한다”라며 “미국은 중산층과 중산층을 만든 노조에 의해 건설됐다”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2021년 노동절 하루 전인 9월 5일 백악관에서 친환경 자동차 비전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 미국 전기차 시장을 이끄는 3대 기업 관계자를 초청하면서도 업계 1위 테슬라 수장인 머스크는 부르지 않았다. 노조가 없는 신생 전기차 업체 리비안과 일본 토요타도 초대 명단에서 빠졌다. 바이든 대통령이 무노조 업체를 소외시킨다는 주장이 나왔고, 머스크는 트위터에 “테슬라가 초대받지 못한 것은 이상한 일”이라고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노조가 없는 테슬라, 바이든 정부에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기대된다.




스크랩 신고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